- 금을 재는 단위로 K를 쓰는데 이는
중동지역에서 나는 식물의 한 종류인 캐럽에서 유래한다.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이것으로 요기를 했다해서
"요한의 빵"이라 불리는 캐럽을 말리면 보통 어른 한 손에 24개가 잡히는데,
이 곳 사람들은 이를 기준으로
금이나 소금 등 작고 가벼운 물건을 교환할 때 척도로 삼았다.
순도 99.99%의 순금을 24K라고 표시하는 것이 바로 여기에서 따른 것이다.
순금은 장신구용으로는 그리 단단치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한두가지의 다른 금속들과 섞어 쓰게 마련인데
이때 합금에서 금의 비율을 K로 나타내며 순금은 24K가 된다.
만약 18K라면 24분의 18, 즉 75%가 금이고
14K는 24분의 14인 58.3%가 금이라는 뜻이다.
출처 : 중년노을빛그리움
글쓴이 : 문신희 원글보기
메모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Slide 동영상 모음 - 7001편 ~ 7100편[100편] (0) | 2014.05.01 |
---|---|
[스크랩] 나이별 이칭 (0) | 2014.04.12 |
[스크랩] 두루마리 화장지의 비밀 (0) | 2014.01.07 |
[스크랩] [ 경조사 이름 * 봉투 쓰기 ] (0) | 2013.12.29 |
[스크랩] 조율이시(棗栗梨枾) 에 이렇게 깊은 뜻이 (0) | 2013.12.14 |